아이들 항생제 처방할 때 꼭 따라오는 유산균…도움될까?
아이들 항생제 처방 시 유산균(프로바이오틱스)이 다같이 처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유산균은 어린이 가정에서 많이 소비되는 건강기능식품으로, 우리나라건강기능식품협회의 조사의 말을 인용하면 프로바이오틱스 경매 건수는 약 2954만건으로 종합비타민을 앞서고 있을 것입니다. 80세 이하와 20~10대에서 프로바이오틱스 비용 비중이 각각 23.8%와 22.7%로 높게 나타났습니다. 병원에서는 세균 감염이 의심될 때 항생제와 다같이 유산균을 정장제로 처방하는 경우가 많은데, 항생제는 장내 미생물을 가리지 않고 공격해 조화를 깨트리고 설사를 생성하므로 유산균을 투입해 이를 안정시키려는 목적입니다.
항생제 관련 설사는 복용자 70명 중 5명 정도에서 발견되며, 변이 약간 묽어지거나 하루 2~7회 설사하는 정도라면 별도 치료 없이 물 섭취만으로 충분합니다. 저런 증상은 항생제를 끊으면 회복되지만, 하루 4회 이상 설사하거나 탈수·구토 등이 동반되면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. 어떤 종류의 유산균을, 얼마나 먹었을 때 효과가 최대로 나은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, 의학적인 목표로 약처럼 사용되는 것이 도움이 되는지 역시 불명확합니다. 전공가들은 바이러스 질병에는 항생제가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소용 없는 사용을 떨어뜨려야 된다고 조언합니다.